상생페이백 신청 후 지급 시기·확인법·사용 방법

상생페이백 신청은 했는데, 막상 “돈은 어디로 들어오나요?” 헷갈리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상생페이백은 카드 캐시백이 아니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됩니다. 지급 시기, 확인 방법, 실제 사용처, 오류 해결법까지 하나씩 정리해드릴게요.

1️⃣ 상생페이백, 어디로 들어오나요?

많은 분들이 “카드로 환급받는 건가요?” 하고 묻지만, 상생페이백은 카드 입금이 아닙니다. 신청할 때 등록한 카드사 앱(또는 홈페이지) 안으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 지급됩니다.

  • 국민카드 → KB Pay 앱 ‘상생페이백’ 메뉴
  • 신한카드 → 신한플레이 → 혜택 → 상생페이백
  • 우리카드 → 우리WON카드 → 공공지원금 메뉴
  • 농협카드 → NH앱카드 → 생활지원 → 온누리상품권

상품권이 들어오면 문자 또는 앱 푸시로 알림이 오지만, 알림을 꺼둔 경우엔 직접 확인해야 합니다.

2️⃣ 지급 시기와 확인 방법 (카드사별 경로)

9월 카드 사용분에 대한 상생페이백은 10월 15일 전후부터 순차적으로 지급이 시작됩니다.
카드사마다 처리 속도가 다르며 평균 2~5영업일이 소요됩니다.

✅ 예시
- 국민·신한카드: 문자 알림 + 당일 반영
- 우리·농협카드: 알림 없이 자동 반영
- 기업은행: 주말 포함 시 2~3일 지연 가능

📍 앱에서 확인 경로

  • KB Pay → 혜택 → 상생페이백 → 내 상품권 보기
  • 신한플레이 → 혜택 → 상생페이백
  • 우리WON카드 → 공공지원금 → 상품권 보기

3️⃣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란? 구조부터 이해하기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정부가 발행하는 전자형 지역소비 상품권이에요.
전통시장과 동네 소상공인 점포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번 상생페이백은 이 상품권을 통해 지급되는 구조입니다.

쉽게 말하면, “정부가 나 대신 온누리상품권을 충전해주는 것”이에요.
상품권은 현금처럼 쓰이지만 사용처가 정해져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4️⃣ 사용 가능한 곳 & 주의사항

상품권은 다음과 같은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전통시장 내 식료품·분식·정육점·야채가게
  • 동네 미용실, 약국, 카페 등 소상공인 점포
  • 대형마트·백화점·편의점·온라인몰은 사용 불가

5️⃣ 상품권이 안 들어왔을 때 점검 순서

“신청했는데 아직 안 들어왔어요” 하는 분들은 아래를 차례로 확인하세요.

  1. 신청일로부터 2~5영업일 지났는지
  2. 카드사 앱 최신버전인지
  3. 알림 차단/스팸함 확인
  4. 신청 카드와 실제 사용 카드가 동일한지

6️⃣ 얼마나 받을까? 지급액 계산 예시

상생페이백은 이전 분기 월평균 사용액보다 3% 이상 증가한 금액의 20%를 환급합니다.
예를 들어 지난 분기 평균 60만 원 → 이번 달 80만 원을 썼다면, 증가분 20만 원 × 20% = 4만 원 지급입니다.

월 최대 10만 원, 3개월간 최대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7️⃣ 자주 묻는 질문 + 이의신청 안내

  • Q. 카드로 자동 차감되나요?
    A. 아닙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결제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 Q. 유효기간은?
    A. 지급일로부터 5년입니다.
  • Q. 양도 가능할까요?
    A. 불가능합니다. 본인 명의 휴대폰·카드에서만 사용됩니다.
린맏

반갑습니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