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장려금 궁금질문 총정리

근로장려금 FAQ 총정리|자격·금액·신청·지급·이의신청

근로장려금 FAQ 총정리

신청 링크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실제 궁금증을 깔끔히 모았습니다. 자격·금액·신청·지급·이의신청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 2024년 기준의 일반 안내입니다. 개인별 조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자격 관련

내가 조건에 맞는지 어떻게 확인하나요?
  • 가구 유형: 단독 / 홑벌이 / 맞벌이
  • 소득 요건(2024): 단독 2,200만 원, 홑벌이 3,200만 원, 맞벌이 3,800만 원 미만
  • 재산 요건: 가구 재산 합계 2억 원 미만(주택·토지·자동차·예·적금 등 포함)
국세청 안내문을 받지 못해도 요건만 맞으면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무직·일용직·프리랜서·알바도 가능한가요?

네. 근로소득·사업소득·종교인소득이 있는 경우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일용직/프리랜서도 소득금액이 요건 이하면 신청 가능합니다.

배우자/자녀 소득은 어떻게 반영되나요?

가구 단위로 합산하여 판단합니다. 맞벌이는 기준 금액이 높지만, 가구 합산 소득이 증가하면 지급액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

2) 지급 금액 관련

나는 얼마 받나요? (간단 예시)

실제 산식은 구간별로 다르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제공합니다.

  • 단독 가구: 총소득 1,500만 원 → 약 120만 원 / 2,000만 원 → 약 70만 원
  • 홑벌이 가구: 총소득 1,500만 원 → 약 200만 원 / 2,000만 원 → 약 150만 원 / 3,000만 원 → 약 50만 원
  • 맞벌이 가구: 총소득 1,500만 원 → 약 250만 원 / 2,000만 원 → 약 200만 원 / 3,000만 원 → 약 100만 원

※ 참고 예시입니다. 실제 지급액은 국세청 산식과 소득·재산 현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최대 금액을 받으려면 소득이 어느 정도여야 하나요?

각 가구 유형별로 지급액이 증가하다가 일정 소득 구간 이후 감소합니다. 소득을 인위적으로 조정하기보다는 실제 신고 소득에 맞춰 신청하시길 권합니다.

3) 신청 절차 관련

정기 신청과 반기 신청 차이는?
  • 정기 신청: 매년 5월(5.1~5.31) → 9월 말 지급
  • 반기 신청: 1~6월 소득은 9월 신청 / 7~12월 소득은 다음해 3월 신청
신청할 때 무엇을 준비하나요?
  • 본인 인증 수단(휴대폰/공동·간편인증)
  • 본인 명의 입금 계좌번호
  • (안내문 수신 시) 개별인증번호
안내문을 못 받았는데 신청 가능한가요?

가능합니다. 요건 충족 시 홈택스/손택스, ARS(1544-9944), 세무서 도움창구로 신청하세요.

4) 지급 시기 & 확인

언제 지급되나요?
  • 정기 신청: 통상 9월 말 전후
  • 반기 신청: 신청 후 약 2~3개월
신청했는데 왜 아직 안 들어오죠?

처리 중·보정 요청·계좌 오류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홈택스 > 조회/발급 > 지급 진행상황에서 상태를 확인하세요.

5) 기타 이슈

재산 기준에 자동차·전세금도 포함되나요?

네. 주택·토지·자동차·임차보증금·예적금 등 대부분의 자산이 합산됩니다.

세금 체납이 있으면 못 받나요?

지급은 가능하나 체납액과 상계(차감)될 수 있습니다.

이의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홈택스(또는 세무서)에서 온라인 접수 가능합니다. 통상 접수 후 약 7일 내외 검토·처리되며 결과는 홈택스에서 확인합니다.

사칭 문자·피싱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 공식 문자는 링크 클릭 유도를 최소화합니다. 낯선 URL은 열지 마세요.
  • 개인정보·OTP 요구는 의심 신호입니다.
  • 의심 문자는 즉시 삭제하고, 필요시 관할 기관에 문의하세요.
린맏

반갑습니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다음 이전